수도권 전철 서해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전철 서해선은 능곡~부천~안산을 잇는 광역철도로, 1998년 수도권 광역교통 계획에 포함되었다. 2011년 착공하여 2018년 소사~원시 구간이 개통되었고, 2023년 대곡~일산 구간까지 연장되었다. 이 노선은 건설 과정에서 비리 의혹, 공사 지연, 긴 배차 간격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으며, 행신역 정차 요구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대곡역 (고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일산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노선 환승역으로, 1996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노선 확충을 통해 교통 허브로 성장하였으나 복잡한 환승 구조로 편의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소사역
소사역은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 위치한 경인선과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환승역으로, 1997년 경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8년 서해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향후 여러 노선의 운영이 계획되어 있고 지상 3층의 1호선 승강장과 지하 2층의 서해선 승강장을 갖춘 7개의 출구가 있는 역이다. - 202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스카이라인 (호놀룰루)
스카이라인은 호놀룰루의 교통 체증 완화를 위해 건설 중인 고가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지연 및 비용 초과 논란이 있다. - 202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도큐 신요코하마선
도큐 신요코하마선은 2023년 개통한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신요코하마역과 히요시역을 연결하며 소테츠선과의 직결 운행 및 도쿄 도심 방면 직통 운행을 제공하고, 신요코하마역 주변 행사 시 임시 열차가 운행된다. - 서해선 - 대곡역 (고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일산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노선 환승역으로, 1996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노선 확충을 통해 교통 허브로 성장하였으나 복잡한 환승 구조로 편의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 서해선 - 합덕역
합덕역은 2024년 11월 2일에 개통된 서해선의 철도역이며, 서해선 ITX-마음 열차가 운행하고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수도권 전철 서해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로고 | Seohae Line.svg |
로고크기 | 60 |
![]() | |
종류 | 간선철도, 광역철도 |
체계 | 수도권 전철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일산역 (경기도 고양시) |
종점 | 원시역 (경기도 안산시) |
역수 | 21 |
개통일 | 2018년 6월 16일(소사~원시) 2023년 7월 1일(대곡~소사) 2023년 8월 26일(일산~대곡)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서해철도, 이레일 |
경유노선 | 경의선, 서해선 |
영업거리 | 47.0 km |
궤간 | 1,435 mm(표준궤) |
선로 | 2(쌍단선)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볼트, 60 Hz |
신호 | ATP [반자동운전] ATS [수동운전(대곡~일산 구간에 한함)] |
영업최고속도 | ATP/ATS 구간 110 km/h |
설계최고속도 | 120 km/h |
노선도 |
2. 역사
1998년 건설교통부의 수도권 광역교통 계획에 능곡~부천~안산을 잇는 노선이 포함되었다. 2002년 예비타당성조사가 완료되었다.(B/C 1.18) 2008년 임대형 민간투자시설사업(BTL)으로 지정되었고,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우선협상자로 선정되었다. 2010년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설립한 이레일이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2011년 4월 22일 착공하였다.
2013년 10월 21일 사업용 철도노선 고시 및 역명이 결정되었다.[3] 2017년 9월 4일 시설물 검증을 위한 시운전이 실시되었고, 9월 5일 서울교통공사와 이레일 간의 소사-원시 복선전철 관리운영계약이 체결되었다.[4] 2018년 1월 12일 서울교통공사 자회사 소사원시선운영이 설립되었다.[5] 4월 6일 철도거리표가 고시되었고 소새울역, 시흥대야역, 시흥능곡역, 달미역, 초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6] 5월 15일 시민 대상 무료 시승식이 진행되었다. 6월 16일 소사역~원시역 구간이 개통되었다.[7]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가 '''321'''로 변경되었다.[8] 2020년 11월 24일 원곡역의 역명이 시우역으로 변경되었다.[9] 2021년 11월 14일 대곡-소사선 김포공항역 ~ 능곡역 간 한강하저 터널이 개통되었다.[10] 2023년 7월 1일 소사역 ~ 대곡역 연장 구간이 개통되었고,[11] 8월 26일 대곡역 ~ 일산역 구간이 개통되었다.[12]
2. 1. 건설 과정
1998년 건설교통부의 수도권 광역교통 계획에 능곡~부천~안산을 잇는 노선이 포함되었다. 2002년 예비타당성조사가 완료되었다.(B/C 1.18) 2008년 임대형 민간투자시설사업(BTL)으로 지정되었고,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우선협상자로 선정되었다. 2010년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설립한 이레일이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2011년 4월 22일 착공하였다.2013년 10월 21일 사업용 철도노선 고시 및 역명이 결정되었다.[3] 2017년 9월 4일 시설물 검증을 위한 시운전이 실시되었고, 9월 5일 서울교통공사와 이레일 간의 소사-원시 복선전철 관리운영계약이 체결되었다.[4] 2018년 1월 12일 서울교통공사 자회사 소사원시선운영이 설립되었다.[5] 4월 6일 철도거리표가 고시되었고 소새울역, 시흥대야역, 시흥능곡역, 달미역, 초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6] 5월 15일 시민 대상 무료 시승식이 진행되었다. 6월 16일 소사역~원시역 구간이 개통되었다.[7]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가 '''321'''로 변경되었다.[8] 2020년 11월 24일 원곡역의 역명이 시우역으로 변경되었다.[9] 2021년 11월 14일 대곡-소사선 김포공항역 ~ 능곡역 간 한강하저 터널이 개통되었다.[10] 2023년 7월 1일 소사역 ~ 대곡역 연장 구간이 개통되었고,[11] 8월 26일 대곡역 ~ 일산역 구간이 개통되었다.[12]
2. 2. 개통
1998년 건설교통부의 수도권 광역교통 계획에 능곡~부천~안산을 잇는 노선이 포함되었다. 이후 2002년 예비타당성조사가 완료되었고(B/C 1.18), 2008년 임대형 민간투자시설사업(BTL)으로 지정되어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우선협상자로 선정되었다. 2010년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설립한 이레일이 사업자로 선정되었고, 2011년 4월 22일 착공하였다.2013년 10월 21일 사업용 철도노선 고시 및 역명이 결정되었으며[3], 2017년 9월 4일 시설물 검증을 위한 시운전이 실시되었다. 2017년 9월 5일 서울교통공사와 이레일 간의 소사-원시 복선전철 관리운영계약이 체결되었고[4], 2018년 1월 12일 서울교통공사 자회사 소사원시선운영이 설립되었다.[5] 2018년 4월 6일 철도거리표 고시 및 소새울역, 시흥대야역, 시흥능곡역, 달미역, 초지역 역명이 변경되었다.[6]
2018년 5월 15일 시민 대상 무료 시승식이 진행되었고, 2018년 6월 16일 서해선 소사~원시 구간이 개통되었다.[7]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가 '''321'''로 변경되었고,[8] 2020년 11월 24일 원곡역의 역명이 시우역으로 변경되었다.[9]
2021년 11월 14일 대곡-소사선 김포공항역 ~ 능곡역 간 한강하저 터널이 개통되었고,[10] 2023년 7월 1일 소사역 ~ 대곡역 연장 구간이 개통되었다.[11] 2023년 8월 26일에는 대곡역 ~ 일산역 구간이 개통되었다.[12]
2. 3. 역명 변경
3. 노선
3. 1. 노선 특징
3. 2. 역 목록
거리{{한국 도시철도
교외선
{{한국 도시철도
{{한국 도시철도
{{한국 도시철도
({{한국 도시철도)
{{한국 도시철도